심준섭 Invisible Noise

심준섭 Invisible Noise

심준섭의 "보이지 않는 소음"

2024. 6. 7 - 6. 21 / 아트펄유(울산)

김옥렬(현대미술연구소 소장)

1.

심준섭은 그간에 도시 건물들 내부에 보이지 않는 파이프 기관들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작업을 해왔다. 도시의 기관은 신체의 기관들처럼 도시와 인간과의 관계를 상징과 은유가 겹치는 지점에 대한 시각화였다. 이번 ‘아트펄유(Art Purl-U)’에서는 ‘보이지 않는 소음’을 주제로 설치와 드로잉을 보여주는 전시다. 이 보이지 않는 소음은 마음을 편하게 하는 소음, 일명 ‘백색소음’에 대한 작가적 시선이 담겨있다. 무엇보다 이번에는 그간에 영상 설치위주의 전시에서 드로잉을 통해 시각적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이지 않는 소음’에 대한 작가적 시선이 드로잉을 통해 백색 소음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음미해 보는 시간이다.

작가는 드로잉은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울림을 주제로 한다. “이것은 언뜻 보기에 원 안에는 바위처럼 보이거든요. 자연의 덩어리처럼 보이는 형상에 소리를 상징하는 이미지와 연결한 드로잉입니다.”(작가인터뷰) 심준섭은 작업을 하면서 늘 아이디어 스케치를 하고 작업이 진행되면 공간해석을 통해 설치로 완성한다. 그렇게 시도한 스케치는 많게는 수백 점에서 작게는 몇 점의 드로잉을 통해 설치로 완성하는 작업을 했다. 이 과정에서 생겼던 스케치를 이번 아트펄유(Art Purl-U) 전시에는 드로잉을 함께 전시한다.

전시의 주제는 ‘보이지 않는 소음’이다. 이번에 소개되는 드로잉은 작가가 처음 전시하는 작업이기도 하지만 소리에 대한 작가의 시각적 이미지는 심장박동과 노이즈가 결합되면서 소리와 신체의 상호작용을 시각화했다. ‘보이지 않는 소음’에 등장하는 작가의 드로잉은 설치를 위한 스케치에서 독립되어 전시되었다. 드로잉의 시각적 의미는 자연과 인간의 신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 이를테면 보이지 않는 소리와 들리지 않는 이미지와의 교차를 통한 시지각적 의미를 담고 있다. 바로 도시의 소음을 통한 저마다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에 대한 관계 설정이다.

noise13, sound & video, installation, 450x300x230cm/ 2024

 

2.

심준섭의 이번전시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소리 그 중에서도 부정적으로 느끼는 소음에 숨어 있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했다.” 그것은 디지털 기계장치를 통해 스피커로 들리는 보이지 않는 소리, 즉 소음을 투명한 물 그러나 질량을 가진 유동적인 물과 결합해 소리의 힘과 물의 물리적 관계성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도는 소리와 물의 관계를 통한 보이지 않는 소음의 시지각적 전환 그리고 드로잉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시각적 확장에 있다.

심준섭의 ‘소음’에 대한 주제의식의 출발은 ‘이명’을 경험한 후에 시도한 작업이다. ‘이명’은 외부에서의 소리 자극 없이 귓속 또는 머릿속에서 들리는 이상 음감상태를 말한다. 이처럼 작가는 “소리의 왜곡이 공간의 왜곡으로 감각될 수 있음을 경험하게 되면서 ‘소음’이라는 차원으로 증폭 변조된 신체내부의 소리는 또 다른 차원의 공간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였다고 한다.

심준섭의 영상이나 설치 그리고 드로잉의 공통점은 신체와 도시건축의 구조적 시스템을 통해 청각에 대한 시·지각적 의미를 투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작가는 “현대의 도시 공간이 인간의 삶에 최적화된 설계일까”라는 의문을 가진다. 거대한 도시 건설 속에서 적응을 강요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그는 영상과 설치 그리고 드로잉을 통해 자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신체기관들과 건축의 수도관이나 가스관, 전선, 케이블 등을 통해 건축물과 인간의 몸의 관계, 이를테면 도시환경과 인간생태의 시각화를 시도해 왔다.

이번 전시는 이전 작업과 연결된 주제의식의 연장선에서 ‘소음’을 모티브로 도시인의 삶에서 느끼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자문자답이다. 전시 주제인 ‘보이지 않는 소음’을 주제로 택한 것은 ‘이명’에 대한 개인적 경험과 ‘소음’에 대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자문을 통해 자답의 방식으로 ‘백색소음’에 대한 의미를 담은 드로잉 12점과 영상과 설치로 구성되어 있다.

‘소음’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백색소음’이 되기도 하고 아니면 단지 시끄러운 ‘소음’이 된다. 이처럼 작가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소음’에 대한 시각화를 시도했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소음’을 생명의 ‘숨소리’로 이미지화하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소음’은 인간 나아가 생명이 있는 모든 생물의 신체기관은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난다는 것에 대한 인식작용이 가능해진다.

고주파에 반응하는 동물인 고양이와 강아지가 아파트에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을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도시의 소음은 청각뿐 아니라 시각적 기능도 약화시킨다. 사회적 적응이 감각을 무디게도 하지만 감각의 확장을 만들어 가기도한다. 도시인의 삶은 마음의 안정을 위해 수많은 소리(자연 및 인공적인 소리와 음)를 온라인을 통해 들으며 소비하고 있다. 예술적 감흥을 위한 소리예술이 그 어느 때 보다 다양하게 생산되는 시대다.

noise 2, drawing, 30x30cm, 2024
noise 1, drawing 30x30cm, 2024
noise 11, drawing, 30x30cm, 2024

3.

심준섭의 이번 <보이지 않는 소리>전은 비 촉각적이고 비 시각적인 소리를 시·촉각적 감각의 시각화로 드로잉을 통해 감각적 확장을 시도했다. “이번전시 드로잉 12점 <noise1>에서 <noise12>는 ‘소음’ 혹은 ‘소리’의 청각적 기호를 시각화한 것이다.

<noise9>, <noise10>, <noise11>은 전시영상의 부분이미지를 드로잉으로 표현했다. 작가는 인간의 신체기관이 호흡하는 동안 고주파의 소음이 발생하지만 듣지 못하는 신체의 경계점을 이미지로 보여준다. 드로잉이 <noise5>, <noise6>, <noise8>이다. <noise12>는 영상사운드 편집을 통해 시각적 이미지로 만들었다. <noise1>은 에너지를 발산하는 심장을 드로잉으로 표현했다고 한다.

생명의 소리와 스피커의 소리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생각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한 이번 전시에서 드로잉은 신체의 부분 이미지와 기계장치를 통한 사운드가 결합하는 방식이다. 인류의 역사는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수많은 생명의 박동 속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변화해 왔다. 이 과정에서 자연과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소리는 비시각적이지만 생명의 감각기관 중 일차적 방어기제로 작동하는 감각기관이다. 그것은 방어기제가 작동하지 않는 ‘백색소음’이 가능한 이유일 것이다.

심장의 박동이 멈추면 시각도 청각도 멈춘다. 어쩌면 도시의 소음이 사라지는 순간 도시의 모든 기능도 멈춘다. 심장이 생명을 상징하는 것이 듯 도시의 소음 역시 도시의 활력을 상징한다. 인간도 도시도 개인적인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다수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만큼의 ‘소음’이란 어디쯤일까. 도시인의 삶은 한낮의 12시와 한밤의 12시 사이에서 느끼는 소음의 차이만큼이나 다양한 삶들이다. 이 삶은 자연과 도시, 몸과 건축 사이에서 보는 청각, 듣는 시각 사이를 호흡하는 보고 보이는 생명의 소리일 것이다.

noise 9, drawing, 30x42cm,2024
noise 10, drawing, 30x42cm,2024
noise 5, drawing, 30x42cm,2024
Noise, installatio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