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환 개인전_나에게 주어진 것

홍순환 개인전_나에게 주어진 것

Hong Sun Hoan Solo Show

Things given to me

홍순환의 "나에게 주어진 것"

1.

홍순환의 ‘나에게 주어진 것’은 그 어떤 선입견을 벗어날 때 보고 감각하는 시·지각 역시 보다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번 전시는 삶과 예술의 상호작용 속에서 작가의 시선이 가닿는 곳, 그가 말한 ‘주어진 것’과의 우연한 만남에서 작용하는 직관에 주목하는 전시다. 이는 대상을 인식하는 작가의 창작과정과 결과물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다. 이 지점에서 작용하는 ‘직관’은 홍순환의 창작을 위한 출발이자 과정이고 또 결과이기 때문이다.

‘직관’(intuition)은 삶 속에서 특정 분야에 수많은 분석이나 추론의 과정들이 의식이나 무의식 속에서 이루어왔던 것이 발휘되는 것이다. 뉴턴(Isaac Newton)이 발견한 중력과 운동법칙 역시 직관이 작용했던 것처럼, 직관은 일상생활에서는 순간적인 판단력과 이해력, 통찰력 등과 유사한 개념으로 과거의 경험이 축적되어 의식을 거치지 않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판단해내는 것이다. 칸트는 <순수이성 비판>에서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고, 개념이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라고 했다.

홍순환의 창작은 자신이 경험하는 대상을 인식 가능한 감각 내에서 ‘직관’이 작용할 때 선택하는 것이 작업이고 또 전시다. 이처럼 그는 인식대상과 선택 사이 직관이 작용하는 순간을 ‘어디서 나타났는지 모르게 새가 휙 지나가는 것’처럼 느낄 때라고 한다. 여기서 ‘휙 지나가는 새’를 놓치지 않고 전시로 이어졌던 <2,300개의 물>전(2013년)은 ‘불현듯 떠올랐던 인식의 한계점이 형태가 정해지지 않은 유연한 비닐 용기에 물(Water)을 담아 개체화’를 시도한 통찰이었다. 이 전시에서 보여준 특정 장소를 해석한 물은 무색, 무취, 무형의 물로 분리, 분화, 분절되어 갇힌 물을 설치했다. 거대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있는 공사현장의 한가운데 곧 사라질 건물바닥에 놓인 2,300개의 물이다, 이 물은 흐르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하나인 다수가 만들어 가는 2,300개라는 개체의 총합, 대규모 주거공간인 아파트 문화에 대한 작가적 인식이 새겨진 풍경이었다.

2300개의 물, 설치전경, 아트스페이스펄 프로젝트스페이스 U-station, 2013

또한, 유난히 더웠던 2018년 8월 한여름 작가는 미얀마의 불탑도시인 바간(Bagan)의 여름을 품고 와서 대구 아트스페이스펄에서 전시를 했다. 이 전시는 <규정되지 않은 모호함>을 주제로 삼았던 평면 회화전시였다. 이 주제는 사각의 틀이라는 캔버스의 확고부동한 틀, 그것이 갖는 ‘구조적 우월함’을 벗어나기 위한 선택으로 ‘유연한 공간’, ‘규정되지 않는 공간’으로 캔버스와 전시 공간의 관계를 유연한 공간으로 해석한 전시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는 시기에 <실존의 좌표, 물질과 비물질의 징후>(2022년)는 최첨단 과학의 시대 기후위기와 불확실성 속에서 ‘실존의 좌표’를 찾기 위한 전시였다. 이 전시는 과소비와 편리에 길들여진 신체감각의 퇴행을 직시하는 동시에 이전 전시에서 설치했던 공간을 활용해 생태맥락이라는 관계인식이 투영된 전시였다. 이러한 시도는 사방으로 막힌 공간에서 모호한 경계, 그 사이 공간, 물리적이거나 심리적인 ‘틈’에 대한 감각작용을 통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전시였다.

2.

2024년 울산의 아트펄-유(Art Purl.U)에서 하는 전시의 주제는 <나에게 주어진 것>이다. 여기서 ‘주어진 것’이 의미하는 것은 메를로 퐁티가 말한 ‘주어진 것’과 그것을 ‘지각하는 것’의 유기적인 관계설정이라는 의미를 전제한다. “우리는 지각의 세계에서 사는 것을 절대 멈추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는 비판적 사고에 의해서 지각을 초월한다. 그래서 우리는 진리에 대한 우리의 관념이 지각에 기초하고 있음을 잊기에 이른다.”(Merleau Ponty)

이처럼 퐁티는 지각의 현상에서 우리는 주어진 대상이 없으면 아무런 지각도 할 수 없지만, 지각된 대상은 지각 이전에 있는 그대로의 대상이 아니라 의식에 의해서 해석된 대상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상과 의식은 지각의 현상에서 어느 한쪽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일방향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인 관계 즉 쌍방향의 관계가 된다.

이번 전시 ‘주어진 것’에 대한 홍순환의 시각은 그 순간 그 장소에서 ‘주어진 것’에 대한 상호작용의 방식이다. 보고 느끼는 순간 작가의 시·지각의 과정에서의 내적 자아가 가진 순수의식, 지성이 아니라 직접적인 내적 감각을 통해 자아와 일체가 될 때, 주어진 것을 통해 나를 인식하는 순간의 산물, 이번 전시 홍순환의 ‘나에게 주어진 것’이자, 베르그송(Henri Bergson)이 말한 “삶의 욕망이 만들어 가는 창조적 적응”일 것이다.

베르그송에 의하면 생명이 가지고 있는 시간은 순수지속의 특성을 가지며, 이 지속 그 자체는 ‘직관’을 통해서만 파악된다고 주장한다. 수학적 시간이나 물리적인 시간은 추상적인 시간이기 때문에 진정한 시간이 아니고, 진정한 시간은 살아 움직임으로 인해 내적으로 시시각각 변화해 가는 시간이다.

무제, 45.3x53cm, oil on canvas, 2023
무제, 가변크기, 혼합매체, 2023

이번 전시의 주제인 <나에게 주어진 것>은 작가에게 주어진 것이자, 유기적인 변화가 가능한 직관과 사유의 시간이다. 이 시간은 저마다의 감성 세포에 녹아들어 보고 또 보이는 관계의 차이, 한순간의 발견과 긴 시간 스며든 흔적의 ‘숨구멍’, 기억의 교차 속에서 ‘직관’이 가 닿는 곳, 인식과 기억의 차이 속에서 만나는 개별적 시간, 삶의 호흡에서 만들어지는 ‘창조적 적응’을 위한 시간이다. 이렇듯 사물에 가 닿는 홍순환의 직관, 즉 ‘주어진 것’을 감각 하는 것, 즉 오브제를 통해 느꼈던 우연성과 개인의 정서가 상호작용하는 지점, 그 순간 보고 보이는 관계성을 저마다의 방식에서 ‘직관’하는 것, 바로 이번 전시를 보는 중요포인트다. 이를테면 시·공간 속에서 유사한 풍경을 함께 보아도 세부적인 경험들은 취향에 따라 감각의 질과 양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 주제가 ‘나에게 주어진 것’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는 미술전공 대학생이나 작가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졌던 것(특정 장소에 버려져 있는)에 또 다른 사람의 자발적 의지가 결합이 되는 지점에서 자의와 타의가 포개지고 결합이 되면서 창작과 감상이라는 위치는 사라지고 제3의 시공간이 만들어지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순간 자의와 타의가 미끄러지듯 새로운 자의적 시선을 향해 무한히 열린 현재라는 시·공간, 이는 홍순환의 직관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간의 산파술이 탄생하는 순간, 바로 ‘나에게 주어진 것’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무제, 가변크기, 혼합매체, 2023
무제, 37x46cm, 틀, 천, 종이, 2023

3.

홍순환이 집중하는 작업은 혼재되고 섞여 있는 것을 수렴해 가는 방식에서 느끼는 흥미로운 발견들이다. 일종의 발견 사물(Found object)이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물체를 전시 공간에 설치해 원래 있는 곳을 벗어나 재-배치(아이디어 생산방식) 함으로써 일상의 사물을 미술의 오브제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삶과 예술의 간격이 사라지면서 작가의 아이디어라는 개념미술로 전개되었다.

이렇듯 개념미술은 결과보다 아이디어와 과정의 미술이다. 감상 역시 규정된 틀을 벗어나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을 열어가는 과정이다. 감상 없는 창작이 없는 것처럼, 미술에서 독창성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 과거에서부터 가까운 과거의 미술을 알고 있을 때 비로소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시각과 깊이 소통할 수 있다.

홍순환은 사물의 흔적에 투영된 시·지각의 빛, 즉 시간이 겹친 얼룩진 곳에서 삶의 온기를 발견한다. 그 빛은 미술로 규정된 선입견을 벗어난 우연성, 즉 ‘나에게 주어진 것’인 동시에 ‘너에게서 온 것’이다. 이는 보는 동시에 감각 역시 가능하게 하는 창작과 감상의 순환, ‘나’ 혹은 ‘너’와의 유연한 관계성이다.

이렇듯 홍순환의 이번 전시 주제인 ‘주어진 것’은 무심한 듯 삶의 가치와 예술의 가치 사이에서 규정지을 수 없는 것, 그 의미가 무엇인지 ‘나에게 주어진 것’, 그 앞에 서게 한다. 이를 통해 박제되지 않고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점에 대한 질문, 그 질문을 통해 예술이 무엇인지 다시 보고 다시 생각하는 시간이다.

홍순환은 “지금 내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드러나지 않고 어떤 틈 사이에 감춰있거나 숨죽이고 있는 것, 그런 것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치들, 어슴푸레하게 추론하는 것, 예측 가능한 어떤 지점에 대한 설정, 새롭게 자각하는 주체 혹은 어떤 환경에 동화되는 객체 그런 방식이다. 그것은 의도하거나 어떤 절차에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위계를 갖지 않고, 낡고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그런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는 “이처럼 주어진 것을 보고 선택하는 과정이 재밌어요. 뭐 어떤 근사한 것을 찾으려고 하지 않거든요. 삶의 주변을 두리번거리면서 뭔가 발견하게 되면 그때 좀 긴장 상태가 돼요. 순식간에 전환되는 느낌을 받거든요. 물질적인 어떤 상태, 물질은 아니지만 물질적인 어떤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 같아요. 회화에는 분명히 시스템이 있고 어떤 방식도 주어져 있어요, 나는 그것을 어떤 범위 안에서 조율되고 관리되는 것에서 벗어나고 싶은 것이죠.”(홍순환 인터뷰)

이렇듯 작가는 다른 어떤 것을 만들기보다는 관습을 벗어나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을 통해 상호작용 가능한 것, 그래서 ‘내게 주어진 것’이라는 규정되지 않고 틀에 박혀있지 않은 것을 감각 한다. 수백 수천 개의 똑같은 그릇이라도 세월의 흔적이 주는 무게감은 같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어디서 왔을까, 어디에서 누구한테 쓰였다가 버려졌을까?” 이번 전시의 주제가 ‘나에게 주어진 것’인 이유다.

글 Text : 김옥렬 Okreal Kim/현대미술연구소 대표)

무제, 가변크기, 천가방, 2023
무제, 가변크기, 스틸, 2023
무제, 8x10x23cm, 혼합재료 , 2023